[공지] arm64e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신규기기(iPhone XS, XR, XS Max, iPad Pros 3rd)에서 발생한 크래시 로그는 발생 건수의 집계만 가능하며, 크래시 내용의 분석은 아직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른 시일 내에 신규기기에 대한 분석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Log & Crash Search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콘솔에 접속하여 왼쪽 메뉴를 이용하여 조직(Organization)과 프로젝트(Project)를 선택합니다. 조직이나 프로젝트가 없다면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ORGANIZATION > PROJECT를 클릭합니다.
조직과 프로젝트를 만드는 자세한 방법은 NHN Cloud 콘솔 사용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프로젝트(Project)를 선택한 상태에서 화면 상단의 서비스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Analytics 아래 Log & Crash Search를 클릭합니다.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서비스 이름 옆에 선택(v) 표시가 나타납니다.
[참고]
서비스를 활성화한 후에는 약 5분 이후부터 전송할 수 있습니다.
Log & Crash Search가 활성화되면 왼쪽 메뉴에 Analytics > Log & Crash Search 메뉴가 나타나고 Appkey가 생성됩니다.
로그를 전송하려면 Appkey를 확인해야 합니다.
로그를 전송하려면 Log & Crash Search SDK가 필요합니다. SDK는 NHN Cloud Downloads 페이지의 Analytics > Log & Crash Search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
로그량이 적은 경우에는 약 5분 후, 로그 전송 결과가 반영됩니다.
이제 전송한 로그를 Log Search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해 보겠습니다.
로그 검색 화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
검색 쿼리 입력 | 쿼리 필드 검색은 Lucene 문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http://lucene.apache.org/core/2_9_4/queryparsersyntax.html) |
검색 대상 기간 | 검색 쿼리의 기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로그 검색 결과 > 차트 | 로그 검색 결과를 막대 그래프로 출력하며, 클릭하면 오른쪽 단위(ex: 1Bar=1hour)에 맞는 기간을 기준으로 출력합니다. |
필드 검색 조건 | - Platform: 사용자 디바이스의 OS 및 버젼으로 구분 - host: 호스트 이름이나 IP 주소로 구분 - logLevel: 로그 레벨로 구분(FATAL / ERROR / WARN / INFO / DEBUG) - logSource: 사용자가 설정한 로그 소스로 구분 - logType: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젝트 이름으로 구분 - projectVersion: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젝트 버전으로 구분 - Show all fields를 클릭하여 다른 필드를 검색 조건으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
로그 검색 결과 > 로그 레코드 | 검색한 로그의 자세한 내용이 출력되는 부분입니다. 출력된 로그의 각 항목은 클릭하여 검색 쿼리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가 설정한 검색 조건은 검색 쿼리 입력 창에 반영되는데, 이 쿼리를 저장할 수도 있고([쿼리 저장]),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쿼리를 이용해서 검색할 수도([저장 쿼리 선택]) 있습니다.
Android, iOS 기기의 크래시 정보는 Analytics > Log & Crash Search > 앱 크래시 검색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슈 조회 탭의 오류 유형에서 Crashes를 선택하면 이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슈 조회 탭의 오류 유형에서 Handled를 선택하면 handled 이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
차트 | 이슈 요약과 크래시 발생 건수를 타임라인 차트로 표시합니다. |
오류 유형 |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Crash와 Exception 블록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Handled로 분류됩니다. |
검색 조건 | 상태 – 크래시 이슈 처리 상태 최근 – 최근 N일간 수집된 크래시 로그 조회 필터 앱 버전 -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운영체제 버전 – 운영체제의 버전 로그 레벨: FATAL / ERROR / WARN / INFO / DEBUG 유형 조회 필터 태그 – 태그 최소 발생 수 – 크래시 발생 최소 N건 이상인 크래시 조회 필터 예외 종류 – 예외 종류별 최근 필터 위치 – 크래시 발생 지점별 조회 필터 |
이슈 목록 | 이슈 목록을 출력합니다. 오른쪽 상단 목록 상자를 이용해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목록 왼쪽 선택 상자에서 이슈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목록에서 이슈를 클릭하면 해당 이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
상태 | 이슈 상태를 미해결, 해결, 재등록, 완료 등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슈 트래커 설정 | GitHub, GitLab 등 외부 이슈 트래커를 설정하여 해당 이슈를 외부 이슈 트래커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
태그 | 태그를 추가하거나 추가된 태그를 변경,삭제할 수 있습니다 |
ETC - 검색 페이지에서 보기 | 클릭하면 로그 검색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스텍 추적 | 크래시가 발생한 예외 종류, 예외 원인 및 스택 트레이스 정보를 보여 줍니다 |
오류 인스턴스 | 오류 인스턴스 목록을 보여 줍니다 |
사용자 | 이슈를 발생시킨 사용자 목록을 보여 줍니다 |
의견 | 해당 이슈에 대해 코멘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작성한 코멘트 목록을 보여 줍니다 |
히스토리 | 해당 이슈에 대한 관리 이력(상태 변경, 태그 추가, 코멘트 작성 등)을 타임라인으로 보여 줍니다 |
히스토리 그래프 | 이슈 발생 건수를 타임라인 차트와 월드맵으로 표시해 줍니다 |
매트릭스 정보 | 네트워크, OS 버전, 디바이스, 통신사, 국가 정보를 표시해 줍니다 |
약 5분 동안의 실시간 앱 크래시 발생을 모니터링합니다.
항목 | 설명 |
---|---|
시간 조건 | 통계 시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7일, 2주, 30일) |
트렌드 그래프 | 다양한 트렌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 크래시 수 - 크래시가 발생한 기기 - 모든 오류 통계 - 미해결 오류 통계 - 앱 버전별 이슈 통계 - 운영체제 버전별 이슈 통계 - 기기별 이슈 통계 - 국가별 이슈 통계 |
앱 크래시 지표는 세션/크래시 파일/발생률(%)/이전 기간 크래시/증가율(%) 정보를 제공합니다.
앱 크래시 추이는 사용자가 지정한 기난 내 발생 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크래시 맵은 사용자가 지정한 기간 내 발생 크래시 수를 지도상에 표시합니다.
사용자별 크래시 발생 정보를 제공합니다.
항목 | 설명 |
---|---|
오류 유형 | 시스템에서 발생 시키는 Crash 통계와 Exception 블럭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Handled로 분류됩니다. |
사용자 | SDK에서 user_id로 지정한 사용자 아이디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기기 | 디바이스명을 검색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시간 조건 | 사용자별 크래시 조회 시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앱 버전 | 앱 버전별로 검색합니다. |
항목 | 설명 |
---|---|
오류 유형 | 시스템에서 발생된 Crash 통계와 Exception 블록에서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Handled 통계로 분류됩니다. |
시간 조건 | 통계 시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앱 버전 | 앱 버전별로 검색합니다. |
국가 | 발생한 이슈를 국가별로 검색합니다. |
운영체제 버젼 | 크래시가 일어난 기기의 운영체제별로 검색합니다 |
크래시별 발생 빈도 파이 그래프 | 크래시별 발생 빈도를 보여줍니다. |
크래시별 발생 빈도 순위 테이블 | 크래시별 발생 빈도 순위를 보여줍니다. |
로그 및 크래시에 대한 알람 설정 및 알람 발송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nalytics > Log & Crash Search > 알람을 클릭합니다.
로그 알람에 대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원하는 로그 유형(Lucene 쿼리)의 발생 증감률에 따라 알람을 발송합니다.
크래시 로그에 대한 알람을 별도로 설정하는 기능으로 플랫폼(iOS, Android, Windows, WebGL)별로 각각 하나씩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알람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래시 로그 알람이 발생한 이력을 조회합니다.
크래시를 겪은 사용자 비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알람을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알람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기반 알람이 발생한 이력을 조회합니다.
검색 필드 관리, 이슈 트래커 설정, 심벌 파일 관리 등 서비스에 필요한 설정을 관리합니다.
Analytics > Log & Crash Search > 설정을 클릭합니다.
로그 검색 시 사용되는 검색 필드를 조회하는 기능으로 시스템 필드인 기본 필드 목록 외에 사용자 전송 필드인 사용자 지정 필드(커스텀 필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슈 트래커를 설정하면 앱 크래시 검색 > 이슈 조회 탭에서 이슈 목록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Error Detail 페이지에서, 해당 오류를 이슈 트래커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Symbolication file이 등록 되어 있어야 크래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에서는 Symbolication file을 업로드, 다운로드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파일 선택] 을 클릭하여 심벌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로그 보관 기간을 설정합니다.
서비스별 로그 전송 여부를 설정합니다.
로그 외부 보관 정보를 설정합니다.
외부 OBS에 로그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AWS S3 API를 이용해 자격 증명 등록 및 조회로 액세스 키(accessKey)와 비밀 키(secretKey)를 가져옵니다.
모든 OBS 정보를 입력했다면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설정한 OBS로 로그가 저장됩니다.
Log & Crash Search SDK에서 전송한 지연 시간과 오류율을 타임라인 차트와 URL 목록, 지도로 표시합니다.
Analytics > Log & Crash Search > 네트워크 인사이트를 클릭합니다.
항목 | 설명 |
---|---|
필터 조건 | - 최근: 최근 15분, 60분, 24시간, 48시간 동안의 시간별 조회 필터, 사용자 지정은 시작/종료 일자를 선택하여 조회(최대 48시간) - 앱 버전: 앱 버전별 조회 필터 - 운영체제 버전: 운영체제 버전별 조회 필터 - 기기: 디바이스 이름 입력 - 통신사: 통신사 이름 입력 - 국가: 국가별 조회 필터 - URL: URL별 조회 필터 |
차트 | 지연 시간과 오류율이 타임라인 차트에 표시됩니다. 현재 플랫폼 드랍다운 메뉴에서 iOS, Android, Windows 및 WebGL별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URL | URL 설정에서 추가한 URL 별로 지연시간과 오류율을 보여줍니다. |
항목 | 설명 |
---|---|
지도 유형 | 지도 유형: 지연시간 및 오류율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필터 조건 | - 최근: 최근 15분, 60분, 24시간, 48시간 동안의 시간별 조회 필터, 사용자 지정은 시작/종료 일자를 선택하여 조회(최대 48시간) - 앱 버전: 앱 버전별 조회 필터 - 운영체제 버전: 운영체제 버전별 조회 필터 - 기기: 디바이스 이름 입력 - 통신사: 통신사 이름 입력 - 국가: 국가별 조회 필터 - URL: URL별 조회 필터 |
지도 | 지연 시간과 오류율을 지도상에 표시합니다. 현재 플랫폼 드랍다운 메뉴에서 iOS, Android, Windows 및 WebGL별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항목 | 설명 |
---|---|
최근 변경일 | URL을 마지막으로 추가 또는 삭제한 날짜입니다. |
URL 표 | 지연 시간과 오류율을 측정할 웹사이트 URL 리스트를 표시합니다. 우측 상단 입력란에 URL을 입력하고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삭제 시 리스트를 체크한 후 [선택 항목 삭제] 클릭 시 선택 항목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